보수 성향이 강한 신문이 소유한 종합편성채널 4곳의 개국이 코앞에 다가왔다. 우파 여론의 득세·작은 언론의 위축 등으로 인한 여론 다양성 훼손, 과도한 시청률 경쟁이 부를 방송의 선정성 강화 등에 대한 우려가 강하게 나오고 있다.
이런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법은 뭘까? 중진 언론학자 6명에게 의견을 구했다. 다수 학자들이 종편 광고영업의 미디어렙(방송광고 판매대행사) 위탁을 첫손에 꼽았다. 지상파에 버금가는 영향력을 가진 종편에 주어진 '비대칭적 규제'를 문제삼는 의견도 많았다. 케이블 의무송신 규정을 철폐하고 콘텐츠 심의 역시 지상파 수준의 잣대를 들이대야 한다는 것이다. 유명무실한 시청점유율 규제 보완도 필요하다. 신문과 방송을 합쳐 30%인 점유율 상한은 지상파조차 시청률이 5~6%에 그치고 있는 상황에서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다. 작은 방송사에도 최소한의 광고 수주를 보장해주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최성진 기자 csj@hani.co.kr
조중동 신문·방송 광고 연계판매 차단해야
권혁남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종편의 광고 직접판매가 이뤄지면 조·중·동 종편은 자사 소유 신문·잡지 등 인쇄매체의 지면광고를 방송광고와 연계해 판매하는 '크로스 미디어' 영업을 시도할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막강한 신문 권력을 지닌 조·중·동이 종편이라는 또다른 무기를 갖게 된 상황에서 기업과 기관이 조중동의 광고 요구를 거절하기란 쉽지 않다. 국회는 종편의 광고판매를 미디어렙에 의무적으로 위탁하도록 하는 미디어렙 법안을 하루빨리 마련해야 한다.
공공성 훼손 막을 방송광고 규제기구 필요
김민기 숭실대 언론홍보학과 교수
예능 프로그램에 집중 투자하고 있는 제이티비시(중앙일보 계열)와 달리 티브이조선(조선)과 채널에이(동아)는 제작비가 적게 드는 다큐, 보도 교양물로 승부를 보려 할 것이다. 제작비 예산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일부 인기 연예인이나 연출자에게는 높은 대우를 약속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못한 보조 출연자와 스태프의 처우 악화 등 제작환경 전반이 나빠질 가능성이 높다. 무엇보다도 여론 다양성과 방송 공공성 훼손을 막기 위해, (큰 방송사와 작은 방송사 광고의) 연계판매, 기금 지원, 광고 요금 조정 등을 규율하는 방송광고균형발전위원회 같은 기구가 필요하다.
시청자 주권 확보 위한 시민단체 노력 절실
김승수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경제적 측면에서 4개 종편 채널의 등장은 국내 미디어 시장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 방송채널이 이미 너무 많은 상황에서 종편은 생존을 위해 시청률 경쟁을 부추길 것으로 보인다. 뉴스와 시사프로를 포함한 방송 콘텐츠의 선정성 경쟁, 상업주의 경쟁으로 방송의 공공성이 크게 위축될 것이다. 시청자 스스로 소비자 주권을 잃지 않으려면 한층 높아진 판단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언론학계 및 시민사회단체 전문가 역시 종편 등장과 맞물려 새롭게 형성되는 대중문화시장에 대한 예리한 분석을 내놓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광고유치 과열경쟁 사후 규제도 강화해야
정인숙 경원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과도한 시청률 경쟁으로 인한 방송콘텐츠의 저급화, 뉴스의 연성화, 그리고 보수언론의 여론 지배력 강화가 우려된다. 이를 막으려면 개별 미디어 사업자가 시장에서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대칭규제의 원칙'을 마련해야 한다. 시청률과 광고유치 경쟁에 따른 시장 교란행위를 막을 수 있는 사후 규제도 강화해야 한다. 현재 여론 다양성을 위한 규제로는 2009년 방송법 개정으로 도입된 시청점유율 제한 규제가 있지만 실질적인 여론 다양성 보장 장치로는 부족하다. 콘텐츠의 질적 하락을 막기 위해서는 자체제작비율 규제와 함께 뉴스 다양성 확보를 위한 규제 등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이념적 편향으로 언론 다양성 위축될 우려
차재영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종편 4사의 최대주주 신문사가 갖는 이념적 지향성을 본다면 종편 등장은 한국 사회의 정치적 다양성을 증대하기보다 민주적 다양성을 담보해온 언론의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종편 허가 당시 형식적으로라도 진보 성향 언론사의 종편 참여를 배려해 정치적 다양성을 보장했어야 한다. 이미 엎질러진 물과 같은 상황이다.
국내 방송시장이 과연 정치 성향이 비슷한 4개 종편을 수용할 수 있는지 지켜보는 방법밖에 없다. 다만 종편이 약탈적 광고영업으로 생존을 연장하는 상황은 막아야 한다. 미디어렙법이 더욱 필요한 상황이 됐다.
지역방송 등 중소 매체 지원방안 마련돼야
한진만 강원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종편은 신문사라는 막강한 언론기관이 방송사를 함께 경영하는 형태를 지닌다. 광고 수주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과 는 막강한 방송사 영향력을 바탕으로, 종편은 막강한 신문 영향력에 힘입어 어렵지 않게 광고를 따낼 것이다. 반면 지역방송과 종교방송 등 중소 매체는 광고시장에서 설 자리가 없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문화방송과 에스비에스가 지역방송에 전파료와 제작비로 나눠 지급하는 광고료 배분 방식을 좀더 합리화하는 등 체계적인 지역방송 지원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