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3-15

"박원순 역공 주말부터 먹혔다 나경원 네거티브는 부메랑으로" : 오마이뉴스

"박원순 역공 주말부터 먹혔다 나경원 네거티브는 부메랑으로" : 오마이뉴스

ohmynews.com | Nov 30th -0001

"박원순 후보는 비정치인 무소속 후보다. 그의 당선을 위해 야5당이 함께 결합한 건, 그만큼 기존 정당들이 유권자가 원하는 정치혁신 요구에 응답하지 못한 결과라고 평가한다. 정당들의 자성이 필요한 대목이다. 박원순-안철수 현상으로 변화를 바라는 유권자층이 꽤 넓게 형성돼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 점을 과거보다 무겁게 받아들일 것이다."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공식 선거운동일 마지막 날인 25일 아침,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는 서울 시청앞 잔디광장에 서 있었다. 전날과 다르게 기온이 뚝 떨어진 탓에 공기는 찼고, 그의 머리카락은 바람에 흩날렸다.

짙은 회색 외투에 '박원순' 선거용 연두색 스카프를 목에 맨 유 대표는 한동안 누군가와 통화 중이었다. 그리곤 커피 한잔 하면서 얘기를 나누자며 먼저 성큼성큼 걸었다. 잔디광장에서 무교동로터리로 향하던 그는 선거상황을 물었다. 대충 비슷한 감이라 판단했는지, 그는 '1억 스킨케어'가 세긴 셌다고 말했다.

그는 박원순 선거대책본부의 공동선대본부장을 맡아 이 선거를 함께 뛰었다. 유세장에서는 '나경원 사용설명서', '박원순 사용설명서' 등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선거기간 중 서울시장 선거와 관련된 인터뷰는 단 한 차례도 하지 않았다. 선거운동 마지막 날인 이날, <오마이뉴스>와 하는 인터뷰가 첫 번째 인터뷰라고 밝혔다.

유시민 참여당 대표가 본 서울시장 재보궐선거

직접 유세현장을 함께 뛴 유 대표는 "선거운동 초반 시민반응은 맹맹했고 한나라당 네거티브 검증공세로 주춤했던 게 사실"이라며 "그러나 주말부터 역공이 먹혔다"고 판세를 분석했다. 이어 "나경원 후보의 네거티브가 결국 부메랑이 됐다"며 "직접 다녀보면 지난 주말 쯤부터 분위기가 잡혔다"고 말했다.

유 대표는 "무소속 시민운동가가 서울시장에 당선된다면 그 자체가 주는 충격이 엄청나게 클 것"이라며 "정치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민심이 선거 결과로 확인되는 것이지만 정당의 변화가 쉽게 일어난다고 속단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또한, 박원순-안철수 현상을 통해 변화를 바라는 유권자층이 꽤 넓게 형성돼 있다는 것을 선거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정치권은 이 점을 과거보다 무겁게 받아들일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금방 변할 것이냐에 대해서는 의문부호를 찍었다.

무지개연합군으로서 야5당이 총력을 결집해 '무소속 후보'의 당선을 위해 뛴, 대한민국 정치사상 처음 있는 이 선거운동을 유 대표는 어떻게 평가할까. 다음은 유 대표와 나눈 일문일답이다.

-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의 공식 선거운동이 25일로 마감됐다. 선거운동을 평가한다면.

"제가 공동선대위원장이긴 했지만 전체적으로 이 선거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잘 모른다. 후보일정에 결합하고, 유세를 함께 하고, 그런 것이지 전체적으로 이번 선거가 어땠다, 이렇게 평가할 상황은 아닌 것 같다. 그것은 연합군 캠프의 책임을 맡고 있는 분들이 해야 할 일 같다. 다만, 주시는 역할, 우리는 최선을 다해 열심히 했다고 말씀드릴 수 있다."

- 국민참여당도 당력을 총집결시켰던 것 같다.

"물론이다. 지역마다 지하철 역사를 지키며 출퇴근 인사를 하며 서울시당의 당력을 총집결했다. 또, 각 지역사무소들이 결합했다. 선거캠프에는 시민참여본부, 유세본부, 홍보미디어 분야에 각각 인력을 파견해 선거를 도왔다. 우린 전략기능에 일체 관여하지 않고, 손발이 되어 뛰었다. 그런 건 상주하며 선거를 치른 이인영 민주당 최고위원이나 시민운동가 하승창씨가 잘 알 것이다."

"선거초반엔 맹맹...지난주말 역공 이후 분위기 잡혔다"

- 무지개연합군을 직접 뛰어본 소감은 어떤가.

"골목유세, 길거리 유세, 또 개인적으로 밥 먹으러 가거나 차 마시러 다니면서 느낀 시민반응은 선거운동 개시 첫주엔 좀 맹맹했다. 박원순이 누구인지 잘 모르기도 했다. 학력시비에 걸렸을 때는 그가 서울대 1학년 때 데모하다 구속됐다는 사실 자체를 몰랐으니까 사람들이 더 판단하기 어려웠던 것 같다. 후보와 시민 간 접촉공간이 좁았고, 접촉한 시간이 많지 않아서 시민들이 네거티브가 쏟아지는 걸 평가할 수 없었다고 생각한다. 시간이 없었다.

알려진 후보가 아니니까 시민들이 더 판단을 잘 못했던 것 같다. 다만, 시민들은 안철수 교수가 단일화 해줘서 뭐 괜찮은가보다 했는데 한나라당과 보수언론의 검증공세가 막 쏟아지니까 이걸 제대로 판단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그래서 주춤했고, 좀 알아봐야겠는데? 했던 것 같다.

그런데 지난주 들어 이쪽에서 역공을 펴고, 나경원 후보에 대한 언론의 검증이 시작되면서 아버지 사학재단에 실은 본인이 11년째 이사였다는 점, 주유비 문제, 미용실, 1억 스킨케어 등등이 터지면서 네거티브가 부메랑이 되고, 또 선거캠프에서 박 후보에 대해 많이 알리려고 하면서 분위기가 잡힌 것 같다. 직접 다녀보면 지난 주말 쯤에는 분위기가 잡혔다."

- 24일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편지를 들고 나타났다. 어떻게 봤나.

"다 좋다. 선거 때 우리 편을 도우러 오신 분인데 당연히 너무 좋다. 또 로자 파크스 얘기는 아무리 철벽처럼 보이는 제도나 관행, 차별의 문화 등이 있어도 결국 사람들이 뜻을 표출하고, 마음을 모으고, 참여하고 행동하다보면 난공불락처럼 보이는 것도 변한다는 것이다. 그런 뜻으로 알아들었고, 투표하자, 이런 결론이라고 생각했다. 국민들이 좋아하는 분이 박 후보를 응원하러 방문하셨으니 공동선대위원장으로서 감사하고 또 기쁜 일이다."

- 경청투어, 타운홀미팅, 화물경차를 개조한 작은 선거운동 등 새롭게 시도된 선거문화에 대해서는 어떻게 평가할 수 있겠나.

"의미 있는 시도로 눈여겨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선거전은 정책대결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권력투쟁의 속성도 있다. 과거에는 과도하게 권력투쟁적 속성이 지배적으로 보였는데 이번에는 어느 정도 정책선거를 돋보이게 하자는 취지로 했던 것 같다. 과거 선거에 비하면 그런 비중이 많이 커졌다. 그러나 여전히 선거는 권력투쟁적 속성이 있다. 다만 박 후보가 시민운동가이고 또 많은 정책아이디어를 갖고 있기 때문에 과거보다 정책이 많이 두드러진 면은 있다고 평가한다."

- 26일 투표 이후 박원순 후보의 당선이 확실하다면, 우리 국민이 박원순 당선을 통해 말하고 싶은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박원순 당선의 의미는 무엇일까.

"본선에서 박원순 후보가 정말 한나라당 후보를 이긴다면, 또 무소속 시민운동가가 서울시장에 당선된다면, 그것은 그 자체가 주는 충격이 엄청나게 클 것이다. 그 자체가 의미하는 변화가 더 크다고 본다. 본선에서 여당후보까지 이긴다면, 그런 게 더 큰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정치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건 모두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런데 그 민심이 선거 결과로 확인되는 것이다. 그럼, 그 변화가 필요하다는 민심이 확인됐다고 금세 변화가 일어날까, 속단하기 어렵다. 간혹 금세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연결하는 분이 계신데, 비현실적이다."

야5당 힘 모아 '무소속 비정치인' 당선 위해 뛴 첫번째 선거

- 한국 정치에서 5개의 야당이 모두 힘을 모아 무소속 후보의 당선을 위해 뛴 전례가 있나.

"김두관 지사가 있었지만 그는 정치인이었다. 그런데 박 후보는 비정치인 무소속 후보다. 그만큼 기존의 정당들이 유권자가 원하는 혁신, 정치의 혁신, 이런 요구에 응답하지 못한 결과라고 평가한다. 정당들의 자성이 필요한 대목이다. 박원순-안철수 현상. 이것으로 우리는 변화를 바라는 유권자층이 꽤 넓게 형성돼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과거보다 무겁게 받아들일 것이다. 다만, 금방 변할 것이냐, 난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 민주당이 금세 변하지 않을 것이다, 이런 얘기인가.

"모든 정당이 변해야 한다. 6·2 경기지사선거, 7·28 은평을 재보선, 4·27 김해을 재보선을 분석해보면 민주당 지지자 가운데 20~30%는 늘 민주당이 아닌 다른 후보를 찍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다. 이 얘기는 결국 민주당 지지자들의 상당수가 민주당의 변화를 원하고 있다는 것이다."

- 진보정당들이 지지를 못받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마찬가지로 작은 당에 대한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다. 큰 당은 큰 당대로, 작은 당은 작은 당대로, 무엇이 국민들로 하여금 우리를 지지하지 않게 하는 것인가 성찰이 필요하다. 그러나, 바꾼다는 것은 힘들고 위험한 일이니까. 민주당은 민주당대로, 한나라당은 한나라당대로, 진보정당은 진보정당대로 변화가 두려운 것이다. 변화는 늘 불확실한 미래 속으로 가는 건대, 그 미래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금 확실한 뭔가를 가진 사람들은 변화를 안 하려고 한다. 박 후보가 당선되면 그것이 곧장 정당의 변화, 정당 기능의 변화로 연결될 것이냐, 그런 보장은 없다."

- 안철수와 박원순 현상으로 새로운 정치를 요구하는 물결은 더욱 거세질 것 같다. 통합과 연대에 어떤 변화가 있겠나.

"통합할 수 있는 당은 통합하고, 통합은 도저히 못하는 당은 연합해서 힘을 모아 정권교체를 하자, 이건 우리 당이 창당할 때부터의 노선이다. 그 외에 다른 길은 없다. 마음이 맞아 통합할 수 있는 곳은 통합하고, 그렇지 못하는 데는 연대해야 한다. 한 쪽에서는 통합 없이 연대만 하자, 또 한쪽은 연대는 안 되니까 통합을 하자, 지금 뒤죽박죽이다. 그래서 나는 통합이고 연대고 모두 다 잘 안 될 수 있다고 본다."

- 박원순 후보가 서울시장이 된다면 직무는 잘 수행할 것으로 판단하나.

"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설사 잘 못하는 게 있거나 정책 중 한둘이 내 철학과 맞지 않는다고 해서 금방 돌 던지고 그러지 말았으면 좋겠다. 선거 때 도왔던 사람들은 그의 선택도 존중해야 한다. 배신이니 어쩌니 딱지 붙여 배척하는 식으로 가면 그도 오래 못 간다.

사회적 선을 실현했던 원래의 박원순이 그 박원순인 한, 그가 하는 일이 달라지고 일하는 방법이 달라질 지라도, 본질적으로 원래 그 박원순인 한, 선거를 함께 한 사람들은 그를 사랑하고 아끼고 보호하고 응원하고 지원해야 한다. 박원순이 돌 맞을 때 같이 맞아주자.

내가 니를 당선시키느라 얼마나 힘들었는데 니가 우리한테 이럴 수 있어? 제발 그렇게 안 했으면 좋겠다. 세상에 완전한 사람 있나? 때로는 판단착오 할 때도 때로는 게을러지기도 하는 거다. 그럴 때마다 돌 던지고 그러지 말자.

서울시장도 알고 보면 외로운 자리다. 그 누구도 시장이 해야 할 판단을 대신해주지 못한다. 토라져 욕하지 말자. 나는 박 후보가 시장이 된 뒤로 (노무현 대통령처럼) 또 그런 일을 당할까봐, 그게 제일 무섭고, 겁난다. 꼭 당선시켜 잘 지켜주고 싶다."

Original Page: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645602

Shared from Read It Later

2012-03-13

Twitter, the Startup That Wouldn't Die

Twitter, the Startup That Wouldn't Die

by Brad Stone, businessweek.com
March 1st 2012

Life inside successful Web startups—especially the really successful ones—can be nasty, brutish, and short. As companies grow exponentially, egos clash, investors jockey for control, and business complexities rapidly exceed the managerial abilities of the founders.

Venture capitalist Peter Fenton calls this phenomenon "the violence of a startup." And nowhere has the violence been fiercer, or more public, than at a company Fenton invested in and has helped to guide: Twitter.

Throughout its first five years of existence, Twitter always seemed on the verge of committing some excruciating form of startup seppuku. There were constant service outages (epitomized by the ubiquitous "fail whale" cartoon message), an embarrassing security breach in 2009 that released a torrent of internal documents, and nonstop departures of key employees. The pièce de résistance was the turmoil at the top: Twitter had three chief executive officers in as many years. That drama culminated with the promotion of serial entrepreneur and former Google executive Dick Costolo as CEO in 2010 and the return last year of one of Twitter's founders, Jack Dorsey, as executive chairman and product chief.

Now something freakish is happening in San Francisco. Twitter, which for years treated the responsibility of earning money as an annoying distraction, may be turning into a viable business. The company has added seasoned executives, pushed its unique symbology like the hashtag (#) and at-symbol handle (@) into the mainstream, and rolled out new advertising products to the delight of big brands such as General Motors (GM) and Budweiser (BUD), which advertised heavily on the microblog service during this year's Super Bowl. Twitter is on pace for revenue of $260 million in 2012, according to research firm eMarketer. That may be an insignificant fleck on the windshield of rivals Google (GOOG) and Facebook, but it's a sign that Twitter is becoming a plausible contender for the online budgets of the world's top advertisers. "Our ad business is only about 18 months old," says Satya Patel, Twitter's product vice president and, like about 90 of its colleagues, a former Googler. "2011 was the year we began scaling it. And 2012 is the year when we demonstrate that it's a juggernaut."

In the past, Twitter's too-cool-for-revenue attitude enhanced its Silicon Valley mystique. The company still tries to maintain that ethos—its stated mission is "to instantly connect people everywhere to what is most meaningful to them." But really it's jumping headlong into competition for advertisers' Internet budgets. Twitter has also aligned itself closely with Apple (AAPL), thanks in part to the connections of its chief financial officer, Ali Rowghani, a former CFO of Pixar Animation Studios, the late Steve Jobs's other company. Apple has coded quick access to Twitter in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iPhone, iPad, and soon, its desktop PCs and laptops. This will make it far easier for users of Apple devices to join Twitter and reflexively contribute to the service.

Then there's Twitter's management of the hashtag, which is increasingly trumping the clunkier Web URL and even the Facebook profile page as a short, handy identifier for companies and politicians. Before the State of the Union address in January, the White House released a transcript of the speech annotated with hashtags for different subjects. During this year's Super Bowl, 8 out of 42 TV advertisers included a Twitter hashtag in their commercials. Last year only one, Audi, did so.

Brands are using the hashtag in part because it links them directly to an intense and nonstop online conversation. Although still relatively small with 100 million active users (compared with Facebook's 800 million-plus members), Twitter has become the pulse of a planetwide news organism, hosting the dialogue about everything from the Arab Spring to celebrity deaths.

Costolo, 48, is as responsible as anyone for Twitter's maturation. He expanded headcount from 45 to nearly 900 and helped his team develop an irony-free—or at least less ironic—sense of mission. Asked for the millionth time about Twitter's plan to increase revenue, Costolo says he will "probably continue to be more patient than people would expect me to be," adding that he has no immediate plans for an initial public offering. A former member of a Chicago improvisational troupe, he's also known for his self-deprecating sense of humor. Talking about the challenges Twitter faces in blocking spammers who might scare off business, he says, "We can learn from those who came before us and the kinds of things that they went through. I think that will ameliorate some of the concerns that advertisers have." He pauses for a moment. "That was a good use of the word 'ameliorate,' by the way. Don't you think? Right? Someone has to give me credit!"

After joining Twitter in late 2009 as chief operating officer, Costolo's first move was to go on a hiring binge, poaching talent from Google, News Corp. (NWSA), and Oracle (ORCL). He later collaborated with Fenton and Bill Campbell, a famous Silicon Valley executive coach and Apple board member, to lure Dorsey back into an active role guiding product decisions. Having Dorsey, Costolo says, "clears away a lot of the contentious discussion you might have about whether you should zig or zag in respect to product decisions." Costolo also devised a six-hour leadership course, which he administers to senior executives four times a year, and directed one of the company's first engineers, Alissa Huskey, to lead a team to define Twitter's core values. The entire company eventually joined in and came up with a list of 10 principles, including "Grow our business in a way that makes us proud" and "Innovate through experimentation." That may sound like the worst kind of corporate offsite banality, but Costolo says it helped. "If you don't know where you're going, it seems like any road will take you there," he says.

Before Costolo became CEO, Twitter defined its business model more by what it did not want to do than what it did. In early 2009, it rejected an entreaty by Microsoft (MSFT) to put ads alongside results from searches on the service because it had not decided on a course of action to make money. It also considered and rejected selling data to corporate users about their Twitter activity and who was following them, and shelved a short-lived effort to tweet Groupon (GRPN)-style discounts, concluding those were not big enough businesses.

Twitter still makes money with licensing deals—Microsoft pays to get a real-time feed of tweets for its search engine, Bing. But Costolo firmly established the company's primary identity as a communications tool that lets advertisers contribute content along with other users free of charge—and then pay extra to make their messages more prominent. The centerpiece of Twitter's plans, what Costolo calls "the atomic unit of our ad strategy," is the "promoted tweet," a message from an advertiser that appears near the top of a user's feed. Advertisers pay only when a user "engages" with the tweet—retweets it, say, or clicks on a link. The more people click on an ad, the more the ad appears. Twitter executives trumpet an engagement rate of 3 percent to 5 percent, compared with less than 0.5 percent for normal banner ads.

Costolo credits Ashish Goel, a Stanford University computer science professor and part-time Twitter consultant, with helping the company realize that tweets could double as ads. Goel had an important insight: Everyone on Twitter is a marketer who wants to promote a link, a piece of news, or a personal update. Twitter's strongest appeal to advertisers was to allow them to pay to add more heft to a standard message. Ads could then flow not only to the central Twitter website but to all of the various Twitter software programs on the Web and on mobile phones, some of which are administered by third-party companies.

After formulating its system, Twitter moved cautiously to roll it out. In 2010 it monitored how many ads it could show users before they became frustrated. It later dabbled by opening advertising to Starbucks (SBUX), Virgin America, Best Buy (BBY), and a few other big companies. For Walt Disney (DIS), then about to premiere Toy Story 3, Twitter developed the "promoted trend," which sits atop the list of popular topics on the main Twitter page for a full day and currently sells for about $120,000 in the U.S. It also started selling "promoted accounts" to advertisers that wanted to pay to have their Twitter names featured to users, a surefire way to add followers.

In summer 2010, Costolo recruited Adam Bain, an easygoing, News Corp. sales executive, to run Twitter's ad efforts. Bain was an unlikely choice; he hailed from Fox Interactive Media, whose banner ads on Myspace.com tended to be gaudy, disruptive, and annoying to users. (Remember those infamous "punch the monkey" ads?) Bain describes his decision to move to Twitter as a "Jerry Maguire moment," a workplace epiphany where he discovered a fundamentally better form of Web advertising. Banner ads, he realized, "forced bad incentives and bad behavior by marketers" because blinky, brash ads were the only ones that grabbed users' attention and elicited their clicks. Twitter had "cracked the code on a new form of advertising," where ads are treated like every other kind of content on the site.

Bain spent his first few months at Twitter outside the office, meeting with ad agencies and advertisers and listening to what they wanted from Twitter. He visited 140 chief marketing officers in 140 days, sometimes with Costolo in tow. (Get it? Tweets max out at 140 characters.) One of Bain's slides showed the path not taken: a clean Twitter website under assault from banner ads hawking lotion, handbags, and cell phones, which descend onto the page amid dramatic clouds of virtual smoke.

The message—Twitter was taking a more nuanced, user-friendly approach—resonated with ad executives. It also left them with questions. CEO Tom Bedecarre of AKQA, a San Francisco-based digital marketing firm, calls himself an admirer of Bain and Costolo and a "drunk-the-Kool-Aid Twitter believer." But he also says Twitter will need to work hard to persuade the rest of the industry to learn how to exploit this new communications medium—right after they were forced to school themselves on the art of Facebook and Google. "Every time there is a new platform, there is a new thing you are measuring," Bedecarre says. "What's the value of a 'like' on Facebook? What's the value of a 'retweet'? I do think that's a challenge for advertisers."

While the New York Giants were beating the New England Patriots in this year's Super Bowl, a different kind of battle erupted on Twitter. General Motors, one of the game's largest advertisers, accompanied its five TV commercials with a wave of simultaneous promotions on Twitter, spending hundreds of thousands of dollars to get its tweets, with links to its TV spots, in front of users of the service. One of those ads, which depicted Chevy Silverado drivers who survive an apocalypse but mourn their absent friend, a Ford owner, set off a minor conflagration. Executives at Ford (F) and GM, along with truck aficionados, waged a war of 140-character tweets over the relative doomsday-surviving attributes of the companies' respective full-size pickups. "At one point it was like the Hatfields and the McCoys online," says Joel Ewanick, GM's chief marketing officer, who gleefully monitored the action from a social media "war room" in GM's Detroit headquarters. "That was our intent. We wanted to give people something to talk about, and Twitter helped us do that."

Over the past six months, Twitter has tried to give advertisers such as GM a variety of new ways to spend money on the service. Last September it began allowing advertisers to send promoted tweets to targeted subsets of people even if they are not following those brands on the service. That same month it began accepting political ads from candidates and political action committees and designating them with a distinctive purple check mark. On Feb. 28, Twitter announced it would also start sending promoted tweets to mobile phones, beating Facebook in the race to make money from exploding mobile Internet use. Later this month, Twitter will open the doors of its ad network to corner bakeries, taco trucks, and other small businesses, which will be able to funnel ads onto the service by submitting bids at Twitter.com without having to talk to a salesperson.

Silicon Valley is watching these plans closely to see whether Twitter can justify the $8 billion valuation it got last summer after an investment by Russian venture capital firm DST Global. There are plenty of reasons for skepticism. Its users are accustomed to selecting whom they follow and what they want to see, and an influx of ads from companies could turn them off, a reaction Twitter engineers internally call "fatigue." The coming tools for small businesses could also pose a problem; such self-service systems tend to attract mischief makers who try to drive traffic to spam- or malware-laden websites. When Google rolled out similar tools for its system, AdWords, early last decade, spammers found cheap search keywords and put links to their websites next to results. Then they stocked those Web pages with worthless ads. Facebook has suffered from similar mischief. In January, Twitter acquired a security company, Dasient, to guard against such manipulation.

For now, many major advertisers are sampling Twitter with budgets far smaller than what they spend on Google or Facebook. In January, Nike (NKE) sponsored a tweet inviting users to "make it count," a promotion foreshadowing the launch of its body-monitoring bracelet, FuelBand. In February, Walt Disney unveiled a campaign for the new Pixar film, Brave, with a promoted trend that invited users to recount their own stories of courage. Verizon Wireless, Subway, and Delta Air Lines (DAL) have been active as well. "We want to be where our customers are," says John Harrobin, Verizon vice president of digital media and marketing, who nevertheless notes that Facebook ads more often result in sales. Twitter users, he says, are more likely to click on ads and engage with the company's message, "so it's often the first place we use to dispense information."

In January, McDonald's (MCD) demonstrated one of the risks of Twitter advertising. It rolled out a campaign with the innocuous hashtag #McDStories as part of an effort to promote tales about the farmers who supply the restaurant chain's produce. Critics of the company immediately co-opted the hashtag with stories of food poisoning, weight gain, and poor employee hygiene. Rick Wion, McDonald's social media director, says he's pleased with Twitter's ad tools and will continue to use them despite the potential for blowback. "We know that at times, promoted trends can be used by critics to take potshots, but in every case where we've used them, the positive conversations and tweets from our customers far outweigh the negative."

Earlier this year, Newt Gingrich set up a petition on Facebook to reduce the price of gas to $2.50 a gallon by supporting expanded North American oil drilling and the Keystone XL pipeline. His campaign then hawked links to the petition on Twitter. At the start of the Feb. 22 GOP debate in Arizona, the Gingrich campaign paid Twitter to ensure that a tweet with the petition's link appeared each time a user searched for "Newt Gingrich" and also for "Mitt Romney." With Twitter's ads, Gingrich at least momentarily pulled off a feat—eclipsing Romney's message—that political analysts concluded he failed to do in the debate.

Vincent Harris, an outside social media consultant to the Gingrich campaign, says he's spending about four times as much money on Facebook as on Twitter simply because he can reach more voters there. It's math: Facebook reaches 44.6 percent of the U.S. population and Twitter 9.1 percent, according to eMarketer. Yet it's Twitter, Harris says, that's become an invaluable tool for shaping the opinion of party insiders and pundits. "The beauty of Twitter's ad unit is that it's the best rapid-response tool that exists in politics right now," he says.

None of these advertisers are the unreserved evangelists Twitter might hope them to be. GM's Ewanick says his Twitter ads during the Super Bowl nearly doubled the carmaker's number of followers, to more than 80,000. He also says that maintaining a Twitter presence and supporting a Twitter ad campaign is more resource-intensive than running old-fashioned TV and print ads. All that engagement and authentic-seeming messaging can be exhausting. A company tweet "can't look like it came from some corporate thing," he says. Verizon's Harrobin says the wireless carrier may have overwhelmed its followers with promoted messages from time to time.

Another common gripe is that advertisers can't target segments of users on Twitter in quite the same way as on Facebook, which typically knows a member's age, work and education history, and hometown. People don't volunteer the same data to Twitter, and its targeting tools are not as refined. Costolo says he's not concerned because there's so much promise in targeting users based on an "interest graph"—the set of characteristics that can be gleaned from users' followers and what they click on. He gets animated talking about a treasure trove of data that's both revealing and noninvasive. "These accounts I follow paint a very compelling picture of the kind of person I am, even if it doesn't paint a picture of exactly which uniquely identifiable individual in the world I am," he says. "I think that allows us to deliver powerful value to advertisers, and powerful value to those who want to speak freely."

He pauses again. "I killed that answer, I absolutely nailed that answer," he says. He gestures at a public-relations colleague. "He's so disappointed in me! 'Why the post-modern ironic references?' "

A few days later, Costolo, done joking around, discusses the company's new headquarters, where most of Twitter's 900 employees will move this summer. Last year, Twitter finalized a lease for a 75-year-old former wholesale furniture market, a building that squats amid an economically depressed area on San Francisco's Market Street filled with panhandlers, dollar stores, and litter-strewn empty lots. It's an unusual location for an Internet phenom, but Twitter, which received tax breaks from the city, is making the space its own. Workers are installing modern elevators and 21st century Web company accoutrements such as coffee bars and two-person conference rooms. They're also turning the roof into a covered deck and cafeteria with towering views of the imperial rotunda of nearby City Hall. The building is full of art deco details the company plans to keep—a marble lobby and exposed mail chutes, those bygone purveyors of the analog tweet. "We're trying to build a lasting company, a company that will change the world in interesting and beneficial ways," says Costolo. "The new space, in this incredibly historic building, lends gravitas to the mission of the company and the future ahead of it. I think it's consistent with the way we are building the company, as a lasting part of the media world."

Original Page: http://www.businessweek.com/articles/2012-03-01/twitter-the-startup-that-wouldnt-die#p1

Shared from Read It Later

Pass the Books. Hold the Oil.

Pass the Books. Hold the Oil.

by THOMAS L. FRIEDMAN, nytimes.com
March 11th 2012

I've always had the same answer: Taiwan. "Taiwan? Why Taiwan?" people ask.

Very simple: Because Taiwan is a barren rock in a typhoon-laden sea with no natural resources to live off of — it even has to import sand and gravel from China for construction — yet it has the fourth-largest financial reserves in the world. Because rather than digging in the ground and mining whatever comes up, Taiwan has mined its 23 million people, their talent, energy and intelligence — men and women. I always tell my friends in Taiwan: "You're the luckiest people in the world. How did you get so lucky? You have no oil, no iron ore, no forests, no diamonds, no gold, just a few small deposits of coal and natural gas — and because of that you developed the habits and culture of honing your people's skills, which turns out to be the most valuable and only truly renewable resource in the world today. How did you get so lucky?"

That, at least, was my gut instinct. But now we have proof.

A team from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r O.E.C.D., has just come out with a fascinating little study mapping the correlation between performance on the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or PISA, exam — which every two years tests math, science a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of 15-year-olds in 65 countries — and the total earnings on natural resources as a percentage of G.D.P. for each participating country. In short, how well do your high school kids do on math compared with how much oil you pump or how many diamonds you dig?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oney countries extract from national resources and the knowledge and skills of their high school population," said Andreas Schleicher, who oversees the PISA exams for the O.E.C.D. "This is a global pattern that holds across 65 countries that took part in the latest PISA assessment." Oil and PISA don't mix. (See the data map at: http://www.oecd.org/dataoecd/43/9/49881940.pdf.)

As the Bible notes, added Schleicher, "Moses arduously led the Jews for 40 years through the desert — just to bring them to the only country in the Middle East that had no oil. But Moses may have gotten it right, after all. Today, Israel has one of the most innovative economies, and its population enjoys a standard of living most of the oil-rich countries in the region are not able to offer."

So hold the oil, and pass the books. According to Schleicher, in the latest PISA results, students in Singapore, Finland, South Korea, Hong Kong and Japan stand out as having high PISA scores and few natural resources, while Qatar and Kazakhstan stand out as having the highest oil rents and the lowest PISA scores. (Saudi Arabia, Kuwait, Oman, Algeria, Bahrain, Iran and Syria stood out the same way in a similar 2007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or Timss, test, while, interestingly, students from Lebanon, Jordan and Turkey — also Middle East states with few natural resources — scored better.) Also lagging in recent PISA scores, though, were students in many of the resource-rich countries of Latin America, like Brazil, Mexico and Argentina. Africa was not tested. Canada, Australia and Norway, also countries with high levels of natural resources, still score well on PISA, in large part, argues Schleicher, because all three countries have established deliberate policies of saving and investing these resource rents, and not just consuming them.

Add it all up and the numbers say that if you really want to know how a country is going to do in the 21st century, don't count its oil reserves or gold mines, count its highly effective teachers, involved parents and committed students. "Today's learning outcomes at school," says Schleicher, "are a powerful predictor for the wealth and social outcomes that countries will reap in the long run."

Economists have long known about "Dutch disease," which happens when a country becomes so dependent on exporting natural resources that its currency soars in value and, as a result, its domestic manufacturing gets crushed as cheap imports flood in and exports become too expensive. What the PISA team is revealing is a related disease: societies that get addicted to their natural resources seem to develop parents and young people who lose some of the instincts, habits and incentives for doing homework and honing skills.

By, contrast, says Schleicher, "in countries with little in the way of natural resources — Finland, Singapore or Japan — education has strong outcomes and a high status, at least in part because the public at large has understood that the country must live by its knowledge and skills and that these depend on the quality of education. ... Every parent and child in these countries knows that skills will decide the life chances of the child and nothing else is going to rescue them, so they build a whole culture and education system around it."

Or as my Indian-American friend K. R. Sridhar, the founder of the Silicon Valley fuel-cell company Bloom Energy, likes to say, "When you don't have resources, you become resourceful."

That's why the foreign countries with the most companies listed on the Nasdaq are Israel, China/Hong Kong, Taiwan, India, South Korea and Singapore — none of which can live off natural resources.

But there is an important message for the industrialized world in this study, too. In these difficult economic times, it is tempting to buttress our own standards of living today by incurring even greater financial liabilities for the future. To be sure, there is a role for stimulus in a prolonged recession, but "the only sustainable way is to grow our way out by giving more people the knowledge and skills to compete, collaborate and connect in a way that drives our countries forward," argues Schleicher.

In sum, says Schleicher, "knowledge and skills have become the global currency of 21st-century economies, but there is no central bank that prints this currency. Everyone has to decide on their own how much they will print." Sure, it's great to have oil, gas and diamonds; they can buy jobs. But they'll weaken your society in the long run unless they're used to build schools and a culture of lifelong learning. "The thing that will keep you moving forward," says Schleicher, is always "what you bring to the table yourself."

Original Page: http://www.nytimes.com/2012/03/11/opinion/sunday/friedman-pass-the-books-hold-the-oil.html?_r=1&src=me&ref=general

Shared from Read It Later

[제901호] 획일적 소비자 낳는 이마트·홈플러스 사회주의 : 경제 : 뉴스 : 이원재의 99%의 경제 : 한겨레21

[제901호] 획일적 소비자 낳는 이마트·홈플러스 사회주의 : 경제 : 뉴스 : 이원재의 99%의 경제 : 한겨레21

h21.hani.co.kr 지금은 두부가 필요하면 자동차 열쇠를 찾는다. 운 좋은 날이면 20분을 달려 대형마트에 도착한 뒤 다시 10분 동안 주차를 한다. 그러고는 커다란 카트를 밀고 온갖 물건이 쌓인 매장을 휘휘 둘러보며 두부의 위치를 찾는다. 누가 어디서 만들었는지 알 수 없는 두부는 예쁜 색깔의 플라스틱 용기에 한 모씩 잘라져 담겨 있다. 전 국민이 먹는 똑같은 두부다. 언제 이곳에 놓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언제까지 먹으면 안전하다는 유통기한 표시를 확인한 뒤 두부를 카트에 담아 계산대로 가져간다.

현금이 없어도 걱정할 필요는 없다. 신용카드로 그으면 되니까. 물론 청구서가 날아오기 전까지만 안전하다. 그 여행을 모두 마치고 집에 돌아오면, 일주일치 두부를 모두 냉장고에 넣어놓고 조금씩 꺼내어 먹는다. 깔끔하게 다 먹을 때도 있지만, 어쩌다 집을 계속 비우게 되는 주에는 남겨버리기 일쑤다.

나는 지금도 어릴 적 두부 심부름을 하던 그 동네에 산다. 두부공장 근처에 높게 지어진 아파트에 산다. 동네 구멍가게가 사라진 지 벌써 10년이 훨씬 넘었다. 몇 주 전, 맷집 좋게 버티던 두부공장도 마침내 문을 닫았다.

문득 어릴 적 두부 심부름을 떠올린 이유는, 엉뚱하게도 홈플러스 이승한 회장의 며칠 전 발언 때문이다. 그는 "한국 경제는 수박경제"라는 말을 기자간담회에서 해서 논란을 일으켰다. "한국 경제는 겉은 파랗지만 속은 빨갛다." 겉은 시장경제인데 속은 사회주의적이라는 이야기를 수박으로 비유한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사회주의나 공산주의에도 없는 정책을 펴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 회장이 비판한 '수박 같은' 정책은 대형마트 영업일수·영업시간 규제와 재래시장 근처에 출점을 제한하는 제도다. 이런 정책이 골목상권이나 소비자를 위한 것도 아니라고 비판하는 거친 표현이 쏟아져나왔다.

그래서 깊이 생각해보게 됐다. 내 삶에서 대형마트는 도대체 무엇일까? 이게 없던 시절의 삶은 어떻게 달랐을까? 그 삶은 '사회주의적인 것'이었거나 그보다 더 나쁜 것이었던가?

한국에 본격적으로 대형마트가 생긴 것은 1993년이었다. 이마트는 그해 첫 점포를 서울 도봉구 창동에 냈다. 그 대형마트는 2000년 전국 171개로 늘었고, 2010년 437개까지 급증했다. 매출액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2000년 총 10조6천억원이던 대형마트 총매출은, 2011년 36조6천억원까지 늘어났다. 1위인 이마트의 2010년 매출은 12조6천억원, 2위 홈플러스는 10조7300억원이었다.

부익부 빈익빈의 생산자 생태계

소매업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당연히 크게 늘어난다. 과거 구멍가게나 슈퍼마켓은 개인 자영업자가 운영하는 게 일반적이었다. 대형마트가 들어오자 기업이 본격적으로 소매업을 하게 됐다. 1996년 소매업에서 기업이 일으킨 매출은 전체 소매업 매출의 29%였다. 그런데 2005년 이 수치는 42%까지 올라간다.

이렇게 커지니 사회로부터 여러 비판이 나오게 되는 것은 어찌 보면 자연스럽다. 우선 수수료율 문제가 있다. 대형 소매업체 판매수수료율이 너무 높아서 생산자들로부터 남는 게 없다는 원성이 자자하다. 판매수수료율은 지난해 정부 조사에서 25~40%인 것으로 나타났다. 1만원짜리 물건 하나를 팔 때 일단 대형마트에서 4천원을 뗀다면 생산자가 남기고 팔기는 사실상 어렵다. 농산물의 경우 생산자 생태계가 파괴된다는 비판이 있다. 대형마트는 엄청나게 많은 물량을 한꺼번에 공급해줘야 하기에 중소 농민들은 감당할 수 없고, 소수 기업형 부농만 살아남는다는 것이다. 부익부 빈익빈의 생산자 생태계가 조성되고 만다. 동네 구멍가게와 슈퍼마켓이 사라지는 현상도 비판의 대상이다. 여기에 하나를 덧붙인다면, 대형마트가 과잉소비를 부추기고 탄소 배출을 늘려 환경파괴적이라는 비판도 있다. 대형 포장으로 필요 없는 물건을 더 많이 사게 하고, 초대형 매장을 운영해 제품 운송과 소비자 이동 과정에서 엄청난 교통정체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이동이 많아지면 탄소 배출은 늘어난다.

대형마트도 할 말은 있다. 소비자에게 편익을 제공하고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소비자에게 값싼 물건을 제공한다는 명분은, 과잉소비를 부추긴다는 현실 앞에서 힘을 잃는다. 필요 없는 물건을 너무 많이 사들이게 하는 것은 편익을 제공하는 좋은 방법이 아니다. 또한 어린 시절과 비교해보면, 소비자는 더 넓은 냉장고를 마련해야 하고 자동차를 더 많이 굴려야 한다. 이런 비용까지 고려해 정말 전체 비용이 감소했는지 따져봐야 한다. 게다가 '가격 할인'이라는 편익을 실제 소비자가 제공받는다 하더라도, 그 편익이 앞서의 생태계와 상권 파괴라는 사회적 편익 감소를 상쇄할 만큼 큰 것인지 납득하기 어렵다.

일자리 문제도 숫자를 보면 다른 결론이 나온다. 예를 들어 2001∼2006년 기업형 소매업체들의 고용을 살펴봤더니 오히려 2% 줄어들었다. 대형마트가 매출을 가파르게 늘리고 있는 동안이다. 여기다 경쟁자들의 일자리는 준다. 사회 전체적인 일자리 감소는 논리적으로도 설명이 된다. 대형마트가 빠르게 성장할 수 있던 이유는 높은 효율성에 있다. 적은 투입으로 많은 제품을 팔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경제 전체로 보면, 한국인이 소비하는 제품의 양은 한정돼 있게 마련이다. 적은 인력과 자원으로 많은 제품을 제공하는 대형 업체가 등장하면 경제 전체적으로는 고용이 줄어드는 결과를 낳게 된다.

모든 사람이 같은 제품을 소비하는

다시 근본적 질문을 던져보자. 우리는 정말, 대형마트가 이끄는 과잉생산·과잉소비 사회로 계속 갈 것인가?

모든 사람이 이마트와 홈플러스를 이용하는 사회에서는, 모든 사람이 비슷한 제품을 소비하게 된다. 모두가 약속한 것처럼 주말이면 자동차를 몰고 나와 카트를 가득 채우고, 신용카드를 꺼내 휘두른다. 그리고 냉장고와 벽장에는 미처 사용하지 못한 제품들이 남아 주기적으로 버려진다. 어떻게 보면 정부 규제가 사회주의적인 게 아니라, 획일적 소비자를 만드는 대형마트가 더 사회주의적이다. 우리는 이마트와 홈플러스의 사회주의로부터 어떻게 탈출할 수 있을까?

이원재 한겨레경제연구소장·트위터 @wonjae_lee

Original Page: http://h21.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31538.html

Shared from Read It Later

[2030 잠금해제] 해적을 위하여 / 한윤형

[2030 잠금해제] 해적을 위하여 / 한윤형

hani.co.kr | Nov 30th -0001

민주주의 국가에선 국가가 합법적
강도에 불과하다고 믿는 이들도
제 신념을 지키며 살 권리가 있다

통합진보당 청년비례대표 후보를 신청한 김지윤씨가 "제주 해적기지 건설 반대" 피켓을 들자 온 사회가 발칵 뒤집혔다. 보수진영은 이걸 핑계로 대대적인 색깔론 반격에 나섰다. 물론 그의 주장에 분노나 불편함을 느끼는 시민이 보수진영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사실 이 문제엔 제법 여러 맥락이 섞여 있다.

먼저 제주지방에서 반대론자들이 '해적기지'란 표현을 쓰는 건 이해가 간다. 주민 동의를 받지 않은 공권력이 '외적'으로 인지된다면 그건 주민 책임을 묻기 전에 공권력의 정당성에 의문을 가질 일이다. 더구나 제주도는 4·3사건 등을 경험했고 '뭍사람'의 정치논리에 그들이 희생당했단 피해의식을 가질 수밖에 없는 곳이다. 만일 김지윤씨가 이러한 지역정서를 대변하려 한 거라면, 피켓 소동은 전국적으로 보도될 매체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세련되지 못한 표현의 문제로 정리될 수 있다.

그러나 김지윤씨 인터뷰를 보면 그의 발언은 어떤 '사상'의 문제로 보인다. 그는 지역 여론을 핑계 삼아 얄밉게 한발 물러서기보다, 다소 성기더라도 제 생각을 떳떳하게 밝히려 한다. 합리적으로 해석해 보면 그는 군대가 자국민을 보호하는 임무를 벗어나 특정 지역민을 억압하거나 해외에서 패권을 추구할 경우 해적과 다를 바 없는 존재가 된다고 보는 것 같다. 전자를 '이명박 정권과 해군당국'에 결부시키고 후자를 '제국주의적 해양지배를 하려는 미군의 합법적 해적질'에 결부시켜 제주해군기지가 해적질을 통해, 해적질을 위해 건설되는 것이라 파악하는 것 같다.

해군 및 해군 출신 시민들의 분노도 이해는 가지만, 그것은 제주해군기지의 군사적 유용성에 대한 확신에서 나온다기보다, 군내에서 육군에게 핍박받던 해군이 이제야 뭔가 해보려는데 탄압을 받는 상황에 대한 분노인 것 같다. 새만금, 정선 카지노, 동남권 신공항의 유용성에 대해 우리가 해당 지역민과 함부로 논쟁하기 어려운 것처럼 말이다. 그러므로 분노는 자유지만 안보를 고민하는 사람이라면 무조건 이 분노에 동참해야 한단 식의 선동은 합리적이지 않다. 안보문제에 대한 고민이 제주해군기지를 하필 강정마을이란 특정한 위치에 반드시 지어야 할 이유를 설명하지는 못하니 말이다.

더구나 해군참모총장과 강용석 등이 김지윤씨를 고소하겠다고 나서는 건 대단히 잘못된 일이다. 민주주의 국가에선 국가가 합법적 강도에 불과하다고 믿는 이들도 제 신념을 지키며 살 권리가 있다. 이게 처벌 대상이 된다면 '국개우원' 등 시민들이 정치권을 조롱하는 갖가지 단어들도 모두 처벌 대상이 된다. 지난 몇년간 박원순 명예훼손 소송과 <피디수첩> 소송 등에서 국가기관이나 그것의 공적 업무에 대한 비판은 명예훼손의 대상이 되기에 적절하지 않다는 판례가 축적된 것으로 안다. 이제 한국 사회도 이런 발언을 법적으로 처벌하려는 욕망을 거두고, 다만 <조선일보>가 그것을 "정신 나간 젊은이"의 "헛소리"라 비판하는 데 만족해야 한다. 그리고 통합진보당은 자당의 정치적 지향이 그 정도 수위의 공적 발언을 허용할 만한지 한번 토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군대를 신성시하는 이들은 '해적' 발언에 분개하겠지만, 냉소주의자들은 "그래서 우리가 더 강한 해적을 만들어야 하잖아?"라고 반응하면 그만이다. 그래서 나는 김지윤씨의 비판 방식을 선호하진 않는다. 그러나 '해적' 발언 논란이 감추는 건, 외교·국방 문제를 미국과 중국 사이의 양자택일만으로 설명하려는 보수의 무책임함과 역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을 내놓지 못하는 진보의 무능이다. 선거를 앞두고 상대편에 대한 혐오정서를 총동원하면서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고 강변하는 건 민망한 일 아닐까.

한윤형 자유기고가

<한겨레 인기기사>

■ 바보야 문제는 만화가 아니야
■ '금갈치·시금치' 서민들, 장보기 겁난다
■ "구럼비 바위 가치 없다? 잘못된 보고서 때문"
■ 비타민제 복용할수록 '독'
■ '자동차면허로 오토바이 몬다'는 옛말

Original Page: http://t.co/OIM7Ex98

Shared from Read It Later

삐걱대는 한명숙號…이해찬 前총리도 등 돌리나

삐걱대는 한명숙號…이해찬 前총리도 등 돌리나

media.daum.net

[CBS 최철 기자]

민주통합당 통합의 한 축이었던 한국노총에 이어 통합의 또다른 큰 축인 '혁신과 통합'측의 불만도 극에 달하고 있는 등 민주통합당의 공천 후유증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일각에선 이해찬 전 총리의 전격 탈당설까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을 맡고 있는 이해찬 전 총리는 최근 공천과정에서의 '소통 부재'를 이유로 한명숙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와의 접촉을 차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천 과정에서 불거진 비리전력자 공천 문제와 총선기획단의 역할 등에 대해 줄기차게 '워닝(경고) 시그널'을 전했지만 대부분 묵살된데 따른 반발인 것이다.

이 전 총리측 관계자는 "1.15 전당대회 이후 한명숙 대표와는 직접 통화도 하면서 이런 저런 의견을 전달하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이마저도 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임종석 사무총장과 홍영표 당 대표 비서실장이 이 전 총리를 찾아와도 만나주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당이 통합의 정신을 살리지 못하고 여론을 무시한 '측근 공천'에 몰두하는 모습을 보면서 이 전 총리가 심각한 상황으로 인식한 것 같다"며 "특히 '혁신과 통합' 인사들이 경선 후보에도 오르지 못하는 모습을 보면서 불쾌한 심정을 드러내기도 했다"고 전했다.

실제 '혁신과 통합'측의 기류 변화는 지는 6일 문성근 최고위원의 성명서에도 그래도 녹아있다.

'혁신과 통합'을 대표하는 문 최고위원은 당시 성명을 통해 "해결책은 실타래를 풀려 노력할 것이 아니라 단번에 잘라내는 것"이라며 한명숙 대표의 결단을 촉구했다.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재판중인 임종석 사무총장을 비롯해 '비리전력자'에 대한 공천 철회를 대표가 직접 결정하라는 압박이었던 것이다.

문 최고위원은 기자회견까지 염두에 뒀으나 한 대표의 만류로 성명서로 대체했고 발언 수위도 대폭 낮춘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이용득 최고위원도 지난 4일 기자회견을 열고 "당이 창당 초기의 마음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면 한국노총은 중대한 결심을 할 수도 있다"며 최고위원직 사퇴는 물론 탈당까지 고려하고 있음을 내비치기도 했다.

이처럼 공천 잡음과 관련해 당내 비판이 들끓고 있지만 일단 당 지도부는 '정면 돌파'의 의지를 보이고 있다.

임종석 사무총장에 대한 공천 철회 요구가 빗발치던 지난 6일 당은 대부업체 굿머니로부터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유죄가 확정됐던 신계륜 전 사무총장에게도 공천장을 줬다.

당 관계자는 "임 사무총장의 거취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그를 임명한 한명숙 대표에게까지 칼이 겨눠질 수 있는 사안이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다"며 "비판에 직면해 있는 총선기획단을 해체하고 조기 선대본을 꾸리는 등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용득 최고위원은 지난달 말부터 최고위원회에 불참하고 있으며 문성근 최고위원도 지난 7일 최괴위에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다.
ironchoi@cbs.co.kr

[관련기사]

진보신당 빼고 가나…2% 부족한 야권연대

민주, 관악乙 경선지역 분류…6차 공천 발표(종합)

한명숙,"야권연대 통해 반드시 총선 승리하겠다"

(대한민국 중심언론 CBS 뉴스FM98.1 / 음악FM93.9 / TV CH 412)
<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Original Page: http://t.co/swufYpMc

Shared from Read It Later

“국민이 3일만 참아주면”칼럼 쓴 김진, 조갑제보다 최고?

"국민이 3일만 참아주면"칼럼 쓴 김진, 조갑제보다 최고?

sisainlive.com
칼럼이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무조건 무력 응징을 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모든 옵션을 놓고 검토해야 하는데 지레 겁먹지 말자는 이야기다. 우리 국민은 군의 군사적 능력에 관해 무지한 상태다. 우리 군이 얼마나 강하고, 한·미 연합사가 얼마나 능력이 있는지 모른다. 반면 북한의 전쟁 수행능력이 얼마나 형편없는지도. 무력 응징이 북한의 반격 도발로 이어지고 국지전은 전면전이 된다는 것은 무지에서 온다고 본다. 우리 능력을 알고 최선의 옵션을 택하면 북한이 대항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아야 한다.

잠수정이 오는 것도 모르고, 쏘는 것도 모르고, 도망가는 것도 몰랐다. 두 달이 넘게 누가 저질렀는지도 몰랐다. 군의 능력을 과신하는 것 아닌가?
잠수함 사건은 별개로 생각해야 한다. 원론적으로 보면 국가 안보의 취약성, 이른바 북한이 기습작전에 능력이 있다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잠수함 몇 대 운용하는 게 결정적 군사력은 되지 못한다.

북한은 핵을 가지고 있다. 결정적 군사력 아닌가?
비행기나 배에 실을 수 있는 핵폭탄을 만들었는지는 불투명하다. 비행기가 뜨는 것은 탐지된다. 이라크 전쟁을 생각하면 된다. 레이더가 폭격당하고, 비행장이 폭격당해 비행기가 제대로 뜰 수 없었다. 핵을 쓴다고 생각하면 정권은 망한다. 북한 정권이 망하는 줄 알면서 핵을 꺼낼 수는 없다.

제한적인 무력 사용이라도 북한이 공격받는다면 대응하는 것이 순서 아닌가. 이판사판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왕에 망할 것 싸우겠다는 생각이 드는 게 당연한 것 아닌가?
항공모함을 대기하고 만반의 태세를 갖추고 공격하면 북한이 도발하지 못한다. 제한적 무력 응징에 만약 북한이 도발한다면 핵심 목표를 일거에 폭격하면 된다. 이건 내 생각이 아니라 군사 지휘관들의 판단이다. 전쟁을 결심할 수 있어야 전쟁을 피할 수 있다. 평화의 다른 이름이 전쟁이다.

전쟁을 부추기고 있다고 비판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내 칼럼을 전쟁을 선동하는 글이라고 읽었다면 잘못 이해한 것이다. 리딩 컴프리헨션(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내가 선전포고하고 전쟁하자고 했는가? 꼬투리 잡아서 사람을 색깔화하는 우를 범하는 것이다.

군사 보복을 할 수 있도록 국민이 3일만 참아달라. 나는 그렇게 읽었다.
내 생각이 아니라 많은 군 장성의 생각을 적은 것이다. 3일은 상징적 숫자의 표현에 불과하다. 이틀이든 하루가 중요한 게 아니다.

어쨌든 대화와 협력이 아니라 군사적 대결이 평화를 이끈다는 말인가?
대화가 평화를 부른다는 사람들은 세상을 잘못 봤다. 틀렸다. 정상적인 나라는 당하면 단호하게 대처해야 평화를 지킬 수 있다. 가족 중 누가 강도에게 피습당했다. 가장이라면, 본인이라면 어떻게 하겠는가?

그렇다고 칼을 들고 나가라는 말이냐.
국가와 국민은 최악의 상황을 상정하고 배수의 진을 쳐야 한다. 천안함이 피격된 만큼 잠수함 기지를 응징하는 것은 정상적인 나라에서 내놓을 수 있는 정상적인 선택이다. 미국은 9·11 테러를 당하고 아프가니스탄을 폭격하고 무너뜨렸다.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는 미국과 거리가 멀다. 미국 국민의 직접 희생과는 거리가 있다. 무력 충돌이 일어나면 우리 국민은 직접 피해자가 된다.
정의를 실행하려면 피해를 감수해야 한다. 악당이 애인을 강탈했다. 그 악당은 눈알 찌르기, 급소 가격에 능하다. 한강 백사장에서의 결투는 불가피하다.

회사 내에서 비판하는 사람은 없는가?
없다. 중앙일보에는 칼럼니스트와 칼럼을 존중하는 점잖은 풍토가 있다.

Original Page: http://t.co/VT9BYF59

Shared from Read It L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