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매력적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의 온라인 취임식 말이다. 그는 선거 기간 보여준 오프라인의 따듯한 경청에서 한발 더 나아가 참여의 문턱을 낮춘 온라인으로 '공감과 동행'의 시정을 시작했다. '시민이 시장이다'는 이제 구호가 아니라 현실이다. 다음엔 무엇이 우리를 설레게 할까?
이젠 '시민이 정당이다'라는 전국적 프로젝트를 깨어있는 시민들이 시작했으면 한다. 나는 지난 주말 대구의 시민단체 활동가들에게 특강을 했다. 험난한 조건에서도 빛나는 눈빛을 간직한 채 새 정치의 희망을 묵묵히 실천하는 그들을 보면서 내내 가슴이 아팠다. 박원순·안철수 현상의 빅뱅 속에서도 여전히 후진 행태를 반복하며 새로운 희망을 만들지 못하는 이들이 생각났기 때문이다. 왜 이른바 합리적 보수라 하는 이들은 아직도 소수 명사들을 모아 제3당을 추진하면서 그것이 국민의 뜻이라 강변할까? 왜 이른바 진보라 하는 민주노동당은 아직도 활동가들끼리의 정파 지분협상에만 시야가 가 있을까? 진보란 유럽과 미국의 위대한 사회민주주의자 비그포르스나 존 듀이처럼 혁신적일 때만 붙일 수 있는 가슴 뛰는 단어이다. 당장 깨어있는 시민이 주도하는 제도와 문화를 실천하지 않으면서 미래를 말할 수 있을까?
원래 정치란 그런 것이라고? 천만에. 나는 몇 주 전 한 워크숍에서 야권 정당들의 플랫폼을 추구하는 '혁신과 통합'의 새로운 정당 모델을 네트워크 정당 등 10가지 테제로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난 시민의 삶에서 괴리된 정치엘리트들이 대부분인 한국에서 이를 실천할 수 있을까 회의를 숨길 수 없었다. 그래도 그 후 난 작은 희망을 보았다. 왜냐하면 '혁신과 통합'이 새로이 만들어질 정당 지도부를 지분협상 방식으로가 아니라 시민주도적 당직선출 방식으로 할 것을 정했기 때문이다.
더 다행인 것은 아예 새 정당의 모델 디자인 자체를 활동가나 명사가 아니라 시민이 주도하고자 하는 고민의 과정이다. 지난 주말 '혁신과 통합'은 시민들의 타운홀 미팅과 온라인 네트워크 토론을 실시간으로 융합한 새 정당의 디자인을 시작했다. 각 토의그룹은 자신들의 논의 결과가 온라인 토론과 함께 대형 스크린에 모아지고 다시 이를 보고 최우선의 어젠다를 결정해 나가며 시간 가는 줄을 몰랐다. 권효현님을 비롯한 '프런티어 존'이란 멋진 대학생팀과 김수정 국장 등이 사흘간 밤을 새워 설계한 시스템은 여균동 감독의 표현에 따르면 신비로웠고 전세계에 수출할 가치가 있었다. 참석한 박재동 화백은 자기들의 정당이 아니라 우리들의 정당이 시작되는 가슴 떨리는 순간이라고 놀라워했다. 문성근 '혁신과 통합' 상임대표 등이 오래전부터 꿈꾸고 실천해온 미래가 현실로 확인된 순간이었다.
토요일의 작은 실험은 앞으로 만들어야 할 큰 정당의 모델하우스였다. 즉 시민 지지자가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결정하는 정당, 단순 여론이 아니라 심의민주적 공론을 만들어 가는 정당, 시민의 재미있고 일상적인 온·오프 커뮤니티의 이야기가 곧 정당의 정책과 메시지가 되는 정당, 비정규직과 청년 등 사회적 약자들의 정당…. 이 정신만 잃어버리지 않는다면 세계에서 최초로 시도되는 21세기형 시민민주정당이 될 수 있다.
지난 토요일의 맹아적 실험이 앞으로 새로운 정당의 디자인으로 얼마만큼 나타나는지, 혹은 엘리트간 협상 과정에서 그들만의 정치로 변질되어가지는 않는지 우리는 두 눈 부릅뜨고 지켜보아야 한다. 더 중요한 것은 국내외의 깨어있는 대한민국 시민, 정보기술(IT) 전문가와 정치활동가들이 함께 만드는 것이다. 이제 시민이 정당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